본문 바로가기

좌충우돌 자린고비/자린고비 독서하기

20190915 - 일취월장 7장, 미래(未來)

반응형

 

 

7 미래(未來)

 

기하급수의 시대

 

20년의 변화

  • 톰 우젝이 진행한 마이아사우라 3D 공룡 모형
  • 1995년에는 2년, 50만 달러가 들었던 작업 
  • 2015년에는 몇 분만에, 무료로, 더 높은 퀄리티의 작업 성공 

기하급수적인 변화

  • 무어의 법칙 - 반도체의 성능은 1년 만에 두 배로 증가한다
  • 두 배 성장: 기하급수적

기하급수는 등비급수, 즉 등비수열의 합이다

  • 현재의 스마트폰이 1970년대의 슈퍼컴퓨터보다 1000배의 성능 향상, 가격은 100만분의 1
  • 혁신의 속도가 빨라지고, 혁신의 결과물이 다양해진다
  • 변화에 적응해야 한다, 그래야 즐겁다

 

기하급수의 6D: 기하급수적인 변화 트랜드

  • 6D - 디지털화, 잠복기, 파괴적 혁신, 무료화, 소멸화, 대중화
  • 디지털화: 무어의 법칙에 올라갈 수 있음, 기하급수적 변화의 초석, 현실 세계 to 디지털 세계 
  • 잠복기: 종이가 조금씩 접히는 단계, 눈에 띄지 않아 파괴력 예측 불가능
  • 파괴적 혁신: 눈에 보이기 시작한 순간 따라잡기 힘들다, 모토로라와 코닥의 예
  • 무료화: 카카오톡, 에버노트, 유튜브.... / 스위스 초콜릿과 허쉬 초콜릿: 무언가 공짜일 경우 단점을 잊음 (댄 애리얼리) 
  • 소멸화: 유료 비즈니스 상품을 파괴
  • 대중화: 대중이 사용
  • 기하급수적 변화 속에서 살아남기 - 4차 산업혁명의 여러 요소들에 대한 지식의 탐색이 필요
    • 기하급수적 기술: 인공지능, 클라우드, 센서, 네트워크, 3D 프린팅, 로봇 공학, 합성생물학 등
    • 기하급수적 툴: SNS 채널, 크라우드 펀딩, 크라우드 소싱, 콘테스트, 커뮤니티 등  

 

인공지능과 고용의 미래


알파고

  • 바둑계의 3대 명장면
  • 인공지능: 기호 체계 -> 신경망 체계 (머신 러닝) : 한계 봉착 
  • 인간의 기술 혁신은 S자 곡선 구성

GPU, 데이터, 러닝

  • 인공지능의 잠복기가 깨진 이유
    1. 물리적 한계가 깨짐: 저렴한 병렬 생산 - 인간의 뇌 모방 가능해짐 / GPU 칩을 통한 신경망 가동이 가능해짐 
    2. 더 나은 알고리즘: 2006년, 제프리 힌턴의 딥 러닝 알고리즘 등장 
    3. 빅 데이터: 알고리즘이 로켓 엔진이라면, 데이터는 연료이다 

인공지능 개발 트렌드

  • 인공지능의 시각 인지 능력 향상 - 2015년 97.85퍼센트로 인간의 95 퍼센트를 뛰어넘음
  • 언어 인지 능력 향상 - 사람의 목소리 구현 가능해짐
  • 3차원 환경으로 확장
  • 추론 유형에 답하는 인공지능
  • 로봇의 움직임에도 인공지능 도입 
  • 자기 스스로도 강화 학습 가능 - 알파고 제로

일자리 양극화와 소득불평등

  • 기계로 인한 일자리 소멸이 아니라 대체가 정답
  • 일자리는 양극화 / 소득은 불균형 상태가 될 것
  • 중간 수준 임금자의 감소

알파고

  • 고용 안전 지대로 여겨진 고숙련 직업 (의사, 변호사 등) 도 위험에 처할 수 있다
  • 최고 챔피언을 이긴 왓슨의 사례 - 여러 산업에서 일할 수 있도록 훈련받는 중 
  • 기관별 고용 미래 전망

 

흐름에 대한 저항보다, 흐름 타기

  • 기하급수적 기술을 이용하며 인공지능과 협업하는 적응력
  • 네트워크에 대한 깊은 이해를 바탕으로 공감, 대인 관계 기술, 창의성 등으로 인공지능에 대응
  • 기하급수적 기술에 대한 비전 -> 새로운 시대, 새로운 일자리 만들기

 

 

신박사의 경영에세이 : 리더의 조건 

  • 여유를 줘야 함 - 시장의 간극(비선형)과 업무(선형) 사이에서 발생하는 간극의 최소화
    • 힘들 때: 부정적 감정은 리더만 - 방파제
    • 잘될 때: 앞으로의 위기에 대비. 업무적 역량 개발 - 댐
  • 명령보다는 방향 제시, 조직원 일깨우기
    • 지시 X, 설명 -> 설득
    • 업무에 대한 디테일 제시, 큰 그림과 함께
  • 리더는 reader가 되어야 한다
    • 새로운 과제 물색
  • 학습하는 조직
    • 능동적
    • 위기 대처 능력 높음

고작가의 심화 : 중년의 , 가장 뛰어나다

  • 경험이 축적될수록 뇌는 발달한다, 뇌는 일생 가운데서 가장 뛰어나다
  • 나이가 들수록 점점 높아지는 것 - 단, 공부한다면 
    • 어휘, 언어 기억, 공간 정향, 귀납적 추리
    • 그릿 지수  
      • 그릿: 근성, 투지, 끈기, 자제력
      • 선형적으로 증가 - 경험의 축적
    • 성실성, 자신감, 배려, 평정심
반응형